5주차 - IPVS

0. 의도성

  • 리눅스 커널에서 지원하는 IPVS 를 사용해서 서비스 프록시를 수행합니다.

  • 기존에 존재하는 굉장히 많은 IPTABLE 규칙개수를 줄이고, 조금더 다양한 부하분산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  • RULE 갯수에 대한 성능 제한 때문에 IPVS를 대체로 사용하게 됩니다.

1. IPVS Proxy 모드

1.1 IPVS 모드 소개

  •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해 IPVS 테이블을 생성합니다.

  • 해당 해쉬 테이블을 특정 ENDPOINT로 로드밸런싱을 사용해 로드밸런싱이 가능합니다.

1.1.1 [실습] IPVS 프록시 모드 생성 && [실습] IPVS 프록시모드 부하분산 확인

// 목적지 생성합니다.
cat <<EOT> 3pod.yaml
apiVersion: v1
kind: Pod
metadata:
  name: webpod1
  labels:
    app: webpod
spec:
  nodeName: myk8s-worker
  containers:
  - name: container
    image: traefik/whoami
 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: 0
---
apiVersion: v1
kind: Pod
metadata:
  name: webpod2
  labels:
    app: webpod
spec:
  nodeName: myk8s-worker2
  containers:
  - name: container
    image: traefik/whoami
 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: 0
---
apiVersion: v1
kind: Pod
metadata:
  name: webpod3
  labels:
    app: webpod
spec:
  nodeName: myk8s-worker3
  containers:
  - name: container
    image: traefik/whoami
 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: 0
EOT

// 2. 클라이언트 생성

cat <<EOT> netpod.yaml
apiVersion: v1
kind: Pod
metadata:
  name: net-pod
spec:
  nodeName: myk8s-control-plane
  containers:
  - name: netshoot-pod
    image: nicolaka/netshoot
    command: ["tail"]
    args: ["-f", "/dev/null"]
 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: 0
EOT

// 3. 서비스(ClusterIP) 생성
cat <<EOT> svc-clusterip.yaml
apiVersion: v1
kind: Service
metadata:
  name: svc-clusterip
spec:
  ports:
    - name: svc-webport
      port: 9000        # 서비스 IP 에 접속 시 사용하는 포트 port 를 의미
      targetPort: 80    # 타킷 targetPort 는 서비스를 통해서 목적지 파드로 접속 시 해당 파드로 접속하는 포트를 의미
  selector:
    app: webpod         # 셀렉터 아래 app:webpod 레이블이 설정되어 있는 파드들은 해당 서비스에 연동됨
  type: ClusterIP       # 서비스 타입
EOT

# 노드 별 네트워트 정보 확인 : kube-ipvs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
## ClusterIP 생성 시 kube-ipvs0 인터페이스에 ClusterIP 가 할당되는 것을 확인
for i in control-plane worker worker2 worker3; do echo ">> node myk8s-$i <<"; docker exec -it myk8s-$i ip -c addr; echo; done
for i in control-plane worker worker2 worker3; do echo ">> node myk8s-$i <<"; docker exec -it myk8s-$i ip -br -c addr show kube-ipvs0; echo; done
for i in control-plane worker worker2 worker3; do echo ">> node myk8s-$i <<"; docker exec -it myk8s-$i ip -d -c addr show kube-ipvs0; echo; done

docker exec -it myk8s-control-plane ipvsadm -Ln -t $CIP:$CPORT
for i in control-plane worker worker2 worker3; do echo ">> node myk8s-$i <<"; docker exec -it myk8s-$i ipvsadm -Ln -t $CIP:$CPORT ; echo; done

// 부하분산 확인
kubectl exec -it net-pod -- zsh -c "for i in {1..10};   do curl -s $SVC1:9000 | grep Hostname; done | sort | uniq -c | sort -nr"
kubectl exec -it net-pod -- zsh -c "for i in {1..100};  do curl -s $SVC1:9000 | grep Hostname; done | sort | uniq -c | sort -nr"
kubectl exec -it net-pod -- zsh -c "for i in {1..1000}; do curl -s $SVC1:9000 | grep Hostname; done | sort | uniq -c | sort -nr"

Last updated